728x90
반응형을 작업할 때 em을 아주 제한적으로 나마 사용하고 있었는데, 해상도가 변경될때 보면 픽셀로 font-size를 적용한 컨텐츠의 div안에 글씨를 제외한 공백이 많아지는 현상을 발견하곤 했는데 그런 문제를 rem이 해결해 줄 수 있을 것 같다.
rem : HTML 요소의 font-size를 기준으로.
em : 지정된 font-size를 기준으로. 지정된 폰트 크기가 없다면 최상 요소의 폰트사이즈를 기준으로.
결론 : em보다는 rem를 사용하고, HTML 자체의 font-size만을 정의한 후 적어도 각각의 font-size만큼은 rem 단위를 써서 작업을 해야겠다. 처음부터 rem를 사용하여 일일이 계산하기 어려우므로 픽셀로 작업한 후에, rem으로 변환시켜자.
https://webdesign.tutsplus.com/ko/tutorials/comprehensive-guide-when-to-use-em-vs-rem--cms-23984
종합 안내: Rem 그리고 Em, 언제 써야 할까
여러분은 아마 좀 더 유연한 측정 단위의 사용을 고려해 보신 적이 있으셨을 겁니다. 그런데 언제 rem 단위를 쓰고, 또 언제 em을 쓸 것인지 아직 완전하게 이해하지 못하셨다면, 이번에 확실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! em과 rem 모두 길이가 유연한 가변 단위로서, 디자인에 설정된 폰트 크기에 따라 브라우저에 의해 픽셀값으로 변환됩니다....
webdesign.tutsplus.com
'DEVELO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ublishing] 반응형 디바이스 별 사이즈 리스트 (0) | 2020.04.07 |
---|---|
[plugin] Swiper 응용 (0) | 2020.04.02 |
[mysql] 프로시저 호출하기 (0) | 2020.03.24 |
[javascript&jQuery] 빈 배열 선언 및 값 저장 (0) | 2020.03.22 |
[plugin] validator.js 유효성 검사 (0) | 2020.03.22 |